시민참여센터

홍보/알림/소통/공유 퍼스널네트워크

시민참여센터
































홍보/인터넷 기사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내용을 널리 알리고 소개하여 시민참여센터에 대한 소중함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시민참여센터의 발전/번영을 도모하고 그 열매와 이익을 상생의 정신으로


20211101   김동찬

네 오늘 Kradio가 만난 사람들에서는 11월 2일 본선거에서 한인 유권자로서 알아두면 유용한 사항은 무엇이 있는 지 시민참여센터 김동찬 대표와 함께 알아보는 시간 갖겠습니다. 1. 이번 본 선거에서 우리 한인 후보들이 어느정도 당선이 결정 됐다 예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예비 선거보다 열기가 조금 약한 느낌도 든다, 나 하나 빠져도 되겠지 라고 생각..

출처 : https://www.am1660.com/kradio/board.php?bo_table=loca&wr_id=30688    

20210803   김동찬

시민참여센터(대표:김동찬) 주최 풀뿌리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 고등학생들이 3일 피터 구 뉴욕시의원과 온라인 영상을 통해 아시안 증오범죄를 비롯 미 정치권의 상황 등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시민참여센터가 전했다.

출처 : https://ny.kukminusa.com/news/view.php?gisa_id=2021080318475437    

20210510

시민참여센터와 21희망재단이 반아시안 혐오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이때, 인종차별 대응 매뉴얼 책자를 공동 발행했다. 이번 인종차별 대응책자는 총 5천5백권을 인쇄해, 한인사회에 배포할 예정이다. 김동찬 시민참여센터 대표는 “인종차별 대응 매뉴얼 책자를 2천권씩 두차례 발행한 적이 있다. 이번에는 21희망재단의 지원으로 5천5백권을 인쇄했다”고 강조했다.

출처 : http://www.21hope.org/jaedan_media/3218    

20210319

기획특집-시민참여센터 (전 한인유권자센터, Korean American Civic Empowerment for Community) 1996년 정치참여 확대로 한인 영향력 강화위해 창립 위안부 결의안 통과·기림비 건립 캠페인 등 전개 팬데믹 기간 정부지원 패키지등 정보 전달에 총력

출처 : http://m.koreatimes.com/article/20210319/1354998    

2019031

시민참여센터는 “2019년 풀뿌리 인턴쉽 프로그램”에 참가할 학생들을 모집한다. 2006년부터 시작된 시민참여센터의 인턴쉽 프로그램은 약 250여명 이상의 한인 청소년 및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많은 성과를 내왔다.

출처 : https://kace.org/author/kace/    

20181219   미주한인유권자연대

시민참여센터(KACE)와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가 공식 분리를 선언하고 각자의 전문 활동에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시민참여센터 상임이사였던 김동석 KAGC 소장은 지난 5년간 지역과 연방 업무가 혼재되어 왔다며, 2019년을 기해 뉴욕 뉴저지 지역과 워싱턴 디씨의 업무를 완전히 분리하고 조직 또한 각자 독립적으로 운영된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 https://www.am1660.com/kradio/board.php?bo_table=loca&wr_id=9172    

20181029

시민참여센터 22주년 갈라 성황리 마쳐. [뉴스M(뉴욕)=신기성 기자] 한인 동포사회의 이익과 권익을 보호하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활동해 온 시민참여센터(KACE, Korean American Civic Empowerment)가 창립 22주년 기금 모금 만찬(22nd Annual Gala 2018)이 지난 25일 대동연회장에서 열렸다.

출처 : https://www.am1660.com/kradio/board.php?bo_table=loca&wr_id=9172    

20180719

시민참여센터(Korean American Civic Empowerment)는 한인유권자센터(Korean American Voters’ Council)의 새 이름입니다. 시민참여센터는 비정파 비영리 단체로, 1996년 뉴욕시에서 설립되었고 2000년에는 뉴저지에 사무실을 열었습니다. 시민참여센터는 한인커뮤니티가 자신들의 이익과 권익을 보호하고, 지역사회의..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dyi8589&..    

20170925

모든 것은 2007년 시작되었다. 2000년대 들어 지구촌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상징물을 꼽는다면 바로 ‘위안부 기림비’일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는 1931년 9월 만주사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군이 주둔하는 곳마다 소위 ‘위안소’를 만들어 여성들을 조달한 것이다. 한국(조선) 여성들이 본격 징발된 것은 1938년 중일전쟁부터였고..

출처 : http://www.okja.org/interview/70984    

20170812

‘한인 풀뿌리운동’ 이끄는 김동찬 씨 미국에서 한인 동포들의 정치적 영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며 20여 년 간 유권자 운동과 정치 참여의 효과적인 모델인 ‘풀뿌리운동’을 이끌고 있는 시민참여센터 김동찬 대표를 소개한다.



출처 :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people&id=&..    

√ 전•현직 회장님

- 김동찬

√ 회원업소